해외 거주자·시민권자를 위한 상속세 가이드 (국내 재산 상속 시)
해외 거주자/시민권자를 위한 상속세 가이드 (2025년 최신) 해외 거주자/시민권자를 위한 상속세 가이드 (국내 재산 상속 시) (2025년 8월 27일 최신 정보 기준) 미국, 유럽, 호주 등 해외에 거주하던 중 한국에 계신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, 슬픔과 더불어 눈앞이 캄캄해지는 것이 바로 '상속 절차'입니다. 특히 한국의 상속세는 거주자와 비거주자에게 적용되는 규정이 달라, 이를 모르고 대처할 경우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해외에 거주하는 상속인(영주권자, 시민권자 포함) 이 한국 내 재산을 상속받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적인 차이점과 준비 절차를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. 1. 나는 '거주자'일까, '비거주자'일까? 가장 먼저 스스로의 법적 지위를 판단해야 합니다. 상속세법상 '비거주자'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사실이 없는 사람을 말합니다. 유학, 해외 파견, 이민 등으로 장기간 해외에 체류했다면 비거주자에 해당할 확률이 높습니다. 상속인 중 단 한 명이라도 비거주자가 포함되어 있다면, 아래 설명할 비거주자 상속 규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 2. 국내 거주자와의 결정적 차이점 TOP 3 비거주자 상속인이 한국의 상속세를 신고할 때는 거주자와 다른, 다소 불리한 규정들이 적용됩니다. 이 차이를 모르면 예상보다 훨씬 많은 세금을 내게 될 수 있습니다. 차이점 ① 신고기한: 6개월이 아닌 9개월 국내 거주자의 상속세 신고기한은 사망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6개월이지만, 비거주자(상속인...